2025/04 3

미국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오늘의 관세정책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오늘 아침, 뉴욕타임스 뉴스레터에서 꽤 인상 깊은 제목을 봤다. 바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을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고 부르며 새로운 관세 정책 (Reciprocal = 상호주의 또는 보복관세)에 관한 내용. 오늘 발표된 ‘관세’ 정책에 대한 내용과, 미국에서 소비자로서 살아가며 느끼는 여러 경제적 시선을 함께 정리해 보았다.▶️ '상호주의' 혹은 '보복관세'가 지금까지의 미국 '무역착취'에 대한 해방?!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은 분명하다. “왜 우리가 다른 나라 제품에는 낮은 세금을 매기면서, 그 나라들은 미국산 제품에 높은 세금을 매기도록 가만히 두느냐?” 예를 들어 유럽은 미국산 자동차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반면, 미국은 유럽산 자동차에 2.5%만 부과한다. 이건 불공..

중국에서는 쿠폰 뿌리는 Starbucks!? 중국 Luckin과의 커피왕좌 대결!

한때 스타벅스는 중국 시장에서 가장 성공적인 해외 진출 사례로 손꼽히며 글로벌 브랜드의 교과서처럼 여겨졌습니다.빠르게 도시화되고 있는 중국 인구, 점점 두터워지는 중산층, 그리고 서구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덕분에 중국은 스타벅스에게 마치 ‘금광’처럼 느껴지는 시장이었습니다."평생 동안 매장을 지어도 다 못 채울 만큼의 시장"전 스타벅스 CEO Kevin Johnson(2017~2022년)은 “내 평생 동안 중국에 스타벅스를 지어도 아직 다 채우지 못할 만큼의 시장이 있다”라고 언급할 정도로 낙관적이었습니다.실제로 스타벅스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3,200개의 매장을 추가하며 공격적인 확장을 이어갔습니다.하지만 2020년 코로나 팬데믹과 중국의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은 스타벅스 매출에..

미국 Gen Z들, 그냥 출근할께요! 재택근무 혁명, 이제 끝난 걸까요?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세상은 순식간에 바뀌었습니다.수많은 기업과 근로자들이 물리적으로 떨어져 일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면서, 재택근무는 일시적인 선택이 아닌 “새로운 표준”처럼 받아들여졌죠.특히 미국에서는 화이트칼라 직종을 중심으로 재택근무가 급속히 확산되었고, 이후 ‘하이브리드 근무(재택+출근 혼합)’가 일상으로 자리잡았습니다.하지만 2024년부터 하나둘씩 다시 사무실로 돌아오라는 기업들의 지시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몇몇 경영진들은 재택근무가 비효율적이며 회사 수익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말하기도 하죠.그렇다면 정말 이제 재택근무 혁명은 끝난 걸까요?나의 재택근무 경험저는 2023년 11월 남편의 직장 발령으로 뉴욕에서 남부 플로리다로 이사하게 되었습니다.그 당시 저는 뉴욕에 본사를..